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산세 납부방법 카드별 혜택 총정리

by 히얀강 2025. 7. 19.
반응형

매년 7월이 되면 우리 집 우편함에 익숙한 고지서가 도착해요. 바로 재산세입니다. 재산세는 지방세의 일종으로, 부동산이나 항공기·선박 같은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이 해당되는데요. 이 세금은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고, 7월과 9월에 나눠서 납부하게 되어 있어요.

 

이번 2025년에도 어김없이 1기분 재산세가 부과되었고, 납부 기간은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입니다. 특히 이 시기를 놓치면 가산세가 붙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하시는 게 좋아요.

재산세는 보통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며, 토지는 9월에 납부하게 되어 있답니다. 주택의 경우 연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전액 납부하게 되고, 20만 원을 초과하면 7월과 9월에 반씩 나눠 납부해요.

재산세 납부방법, 어떤 게 있을까요?

고지서를 받아보셨다면, 바로 납부할 수 있어요. 하지만 고지서를 받지 않았더라도 걱정 마세요. 온라인, 모바일, 전화 등 다양한 경로로 납부할 수 있는 재산세 납부방법이 마련되어 있거든요.

 

1. 온라인 납부 (PC, 모바일 앱)

이 두 사이트에서는 본인 인증 후, 부과 내역을 조회하고 바로 납부할 수 있어요. 특히 PC 외에도 모바일 앱으로도 납부가 가능해서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답니다.

2. 자동화기기(CD/ATM기) 납부
전국 모든 은행 또는 우체국 CD/ATM기를 통해 고지서 없이도 납부할 수 있어요. 은행 방문이 가능하신 분들은 이 방법이 간편하죠.

3. 가상 계좌 입금
고지서에 기재된 가상 계좌번호로 계좌이체를 하면 납부 완료! 이 방법은 인터넷뱅킹 이용이 익숙하신 분들께 특히 편리해요.

4. 전화 ARS 납부
ARS 번호(예: 오산시 142-211)에 전화를 걸어 신용카드 결제도 가능합니다. 수수료가 없다는 점도 매력적이에요.

 

5. 간편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삼성페이 등으로도 납부 가능해요. 특히 젊은 세대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앱을 이용한 납부 비율이 점점 늘고 있어요.

재산세 납부 시 놓치기 쉬운 가산세 주의사항

재산세는 정해진 기한 내에 꼭 납부해야 합니다. 2025년 1기분 재산세는 7월 31일까지 납부해야 하는데요, 이 기한을 넘기면 불이익이 생깁니다.

  • 가산세 3% 부과
  • 매월 0.75% 납부지연 가산세 추가 발생 (최대 60개월)

특히 건물이나 주택 등 소유 부동산이 여러 채일 경우, 납세 금액이 크기 때문에 기한을 놓치면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따라서 스마트폰 캘린더나 알림 기능 등을 활용해서 미리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고액 납세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분납제도’

혹시 부과된 재산세 금액이 250만 원 이상인가요? 그렇다면 ‘재산세 분납제도’를 꼭 이용해 보세요.

  • 250만 원 초과 ~ 500만 원 이하: 250만 원 납부 + 나머지 3개월 이내 납부
  • 500만 원 초과: 전체 세액의 절반 이상을 우선 납부하고, 나머지는 3개월 이내 추가 납부 가능

분납 신청은 시청 세무과를 방문하거나 위택스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일정 금액을 나눠 낼 수 있으니, 현금 흐름 관리가 필요한 분들께 매우 유용하죠.

전자고지 신청하면 세액 공제까지?

재산세 납부를 조금 더 똑똑하게 하는 방법! 바로 전자고지와 자동이체 신청입니다. 스마트폰에서 금융앱(토스, 삼성페이 등) 또는 간편결제앱(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을 통해 전자송달을 신청하고 자동이체로 납부하면, 최대 1,600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전자고지의 장점은 단순히 할인뿐만 아니라, 고지서 분실 걱정도 줄이고 납부 알림도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다는 점이에요.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친환경 방식이라 요즘 이용자가 빠르게 늘고 있어요.

2025년 7월 재산세 카드 납부 혜택은?

많은 분들이 재산세를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납부하시는데요, 올해 카드사별 혜택을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 무이자 할부 제공 카드사

  • 농협카드: 5만 원 이상 2~6개월 무이자
  • 비씨카드: 2~3개월 무이자

✔ 카드사별 이벤트

  • KBpay 신규가입자: 30만 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쿠폰 증정
  • 페이북 마이태그: 건당 20만 원 이상 납부 시 2,000원 할인
  • NH농협 VIP: 납부 금액별로 스타벅스 쿠폰 지급 (최대 5잔)
  • 신한체크카드: 납부액의 0.1% 캐시백 (1만 원 미만 시 포인트 적립)
  • 롯데 LOCA 카드: 지방세 납부액 1% 캐시백 (월 최대 200만 원 한도)

단, 이런 카드혜택은 기간 제한 및 사전 응모 필요 조건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

마무리 체크! 재산세 납부 시 꼭 알아야 할 사항

납부 대상

  • 6월 1일 기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 소유자
  • 2기분(9월): 주택분(절반) + 토지 소유자

납부 기간

  • 2025년 7월 16일(수) ~ 7월 31일(목)

재산세 납부방법

  • 위택스, 지로, ARS 전화, 가상계좌, ATM 납부, 간편결제 등

할인 혜택

  • 전자고지+자동이체: 최대 1,600원 세액 공제
  • 카드 납부 시 무이자/캐시백/쿠폰 이벤트 등

주의사항

  • 납기일 초과 시: 3% 고정 가산세 + 월 0.75% 지연 가산세 발생
  • 세액 250만 원 초과 시 분납 가능 (신청 필수)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일반과세자 홈택스 사용법

2025년 1기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매년 1월과 7월은 사업자들에게 중요한 시기인데요. 세무기장을 맡기지 않은 소규모 사업자라면, 홈택스를 활용해 스스로 부가가치세 신

samflower1.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