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월세 신고제 대상, 유예기간, 과태료 총정리(제외대상?)

by 히얀강 2025. 5. 2.
반응형

2025년 6월 1일부터 전월세 신고제가 본격 시행되며 과태료 부과도 시작됩니다. 내가 신고 대상인지, 과태료는 얼마인지, 신고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헷갈리셨다면 이 포스팅 하나로 끝내세요!

전월세 신고제란?

주택 임대차 계약 체결 시, 보증금 또는 월세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30일 이내에 관할 주민센터나 온라인으로 신고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 시행일: 2021년 6월 1일
  • 과태료 부과 시작: 2025년 6월 1일
  • 신고하면? 확정일자 자동 부여

전월세 신고 대상 요건

① 지역 요건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면 신고 대상 지역입니다.

  • 서울, 세종, 제주도 (전 지역)
  • 6대 광역시 전역 (광역시 내 ‘군’ 지역 포함)
  • 경기도 전체 (시·군 모두 포함)
  • 강원·전라·충청·경상 등 타 도의 ‘시’ 지역
  • ❌ 단, 이 외 도 지역의 ‘군’ 지역은 신고 대상 아님
    • 예: 전북 고창군, 경북 의성군 등은 신고 제외

② 금액 요건

  • 보증금 6,000만 원 초과 또는
  • 월세 30만 원 초과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고 의무 발생

전월세 신고 제외 대상 5가지

  1. 2025년 5월 31일 이전 계약
  2. 신고 대상 지역이 아닌 군 지역
  3. 보증금 6천만 원 이하 & 월세 30만 원 이하 계약
  4. 임대료 변동 없는 갱신 계약
  5. 임대사업자 등록 주택

📌 주의: 임차인이 오피스텔 등을 주거용으로 사용할 경우도 주택 임대차로 간주되어 신고 대상입니다.

 

전월세 신고 방법 (2025년 기준)

📄 준비물:

  • 임대차계약서 원본 (집주인+세입자 공동 서명)

📌 누가 신고하나요?

  • 집주인 또는 세입자 둘 중 누구나 가능
  • 단,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 필요

🧭 어디서 하나요?

  • 오프라인: 관할 주민센터
  • 온라인: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 신고 시 혜택:

  • 확정일자 자동 부여
    단, 계약 후 1개월 이상 지나 이사할 경우
    전입신고는 따로 해야 함

전월세 신고제 바로 가기

전월세 신고제 신청방법 자세히 보기

전월세 신고제 위반 과태료 부과 기준

위반 유형 과태료
신고 지연 2만 원 ~ 30만 원
허위 신고 최대 100만 원
미신고 임대인·임차인 양측 모두 과태료 가능

 

지역 기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한 핵심 요약

지역 유형 예시 신고 대상 여부
서울/세종/제주 전 지역 ✅ 대상
광역시 군지역 울산 울주군 등 ✅ 대상
경기도 군지역 연천군, 가평군 등 ✅ 대상
도 지역 시 원주시, 전주시 등 ✅ 대상
도 지역 군 고창군, 의성군 등 ❌ 제외
 

전월세 신고제 최종 점검 체크리스트

✅ 내 계약은 2025년 6월 1일 이후 체결인가?
✅ 신고 대상 지역과 금액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가?
✅ 갱신 계약이라면 임대료 변동이 있었는가?
임대사업자 등록 주택이 아닌가?

→ 모두 ‘예’라면 신고 필수!

 

반응형